김성순 동문(물리학과 90학번/서울 수서경찰서 형사과 강력3팀)[강력ㆍ마약ㆍ강도ㆍ지능범죄 수사 등 외근형사로 12년간 종횡무진 활약하고 있는 김성순 동문. 지난 7월 전국 6천여 명의 여경 가운데, 수사 분야에서 최고 성과를 낸 경찰관에서 수여하는 "으뜸 여경대상"을 받은 대한민국의 정정당당한 여형사 김 동문을 만나봤다.]

신문이 만들어준 인생의 목표
물리학과 2학년에 재학 중이던 가을 어느 날, 김 동문은 공과온라인 슬롯사이트 추천 앞 벤치에 앉아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그 때 가을바람에 날리던 신문 속 한 기사를 보게 됐다. "여자형사기동대 발대식"관련 기사였다. "여자가 형사가 된다니…. 그 기사를 보니 절로 흥분이 되더군요. "그 여경들처럼 나도 형사가 되어 강한 여성으로 살 수 있겠구나"라는 기대감이 생겨 경찰이 되기로 결심했습니다. " 김 동문은 그 기사를 읽기 전에는 여자가 경찰이 될 수 있다는 생각조차 못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 기사로 인해 진로를 결정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집안의 반대도 만만치 않았다. "부모님은 여자가 무슨 경찰이냐면서 반대를 하셨습니다. 당시만 해도 남녀 불문하고 경찰이라는 직업이 굉장히 위험하고 힘든 직업이라는 인식이 팽배할 때였기 때문이죠."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경찰에 도전했지만 그 또한 결코 쉽지 않았다. 지금은 1년에 1~2회 정도 여자경찰을 채용한다. 그러나 김 동문이 경찰이 되고자 했던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여자경찰을 뽑는 정기적인 시험이 없었고 필요할 때만 조금씩 뽑았기 때문에 3~4년에 한 번씩 채용했다. 김 동문은 온라인 슬롯사이트 추천을 다니면서 가산점이 있는 컴퓨터 자격증 공부와 경찰시험 준비를 게을리 하지 않았고 1994년 졸업하던 그 해 10월에 합격 통지서를 받았다. 1995년 순경으로 경찰에 발을 들이게 된 김 동문은 교통과에 2년 여간 근무한 뒤 1997년, 꿈에 그리던 서울지방경찰청 여자형사기동대에 발령을 받았다. 지금까지 강력ㆍ마약ㆍ지능범죄 수사 등 외근형사로 12년간 활약하고 있다.

대한민국 여형사로 살아가기
현재 김 동문이 근무하고 있는 곳은 강력팀이다. 강력팀은 살인과 강도, 강간, 절도, 마약, 폭력 등 강력 사건을 담당하는 곳이다. 김 동문이 마약계에서 근무할 때는 "뽕순이"라는 별명도 얻었다. 필로폰은 속칭 "뽕"이라고 불리는데 동료들이 마약사범을 잘 잡았던 김 동문의 마지막 이름 "순"과 합쳐 "뽕순이"라고 불렸던 것이다. 여자형사기동대에 근무하면서부터 "형사"라는 호칭을 들을 때가 가장 행복하다는 김 동문. 그러나 여자이기 때문에 남성적인 성향이 강한 형사로 일하는 것이 쉽지만은 않다고 말한다. "내가 여자라서 이렇게 대해주는구나"라는 피해의식은 금물입니다. 또 여자이기 때문에 무시하는 것이 아니라 배려한다고 생각하면 맘이 편해집니다. 차이는 인정하지만 차별은 인정할 수 없죠.

노력과 열정의 결과가 빛을 발한 순간
형사 업무는 불규칙한 생활의 연속이기 때문에 일과 가정을 병행하기가 쉽지 않다. 여형사의 경우는 더더욱 그랬다. 가장 하고 싶은 일을 우선순위로 살아왔다는 김 동문은 형사 생활을 위해 결혼까지 포기했다. 이렇게 열심히 일해서일까. 유명 영화배우의 휴대전화를 복제한 기획사를 적발하고 해외 유령 의과온라인 슬롯사이트 추천을 내세워 12억 원을 가로챈 사립대 총장을 구속하는 등 사회적으로 큰 주목을 받는 여러 사건의 해결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김 동문의 노력이 빛을 발하는 순간이 왔다. 지난 7월 제63주년 여경 창설 기념행사에서 "으뜸 여경대상"을 받은 것이다. "으뜸 여경대상"은 전국 6천여 명의 여경 가운데 범인 검거 실적 등 수사 분야에서 최고 성과를 낸 경찰관에게 주는 상이다. 이로 인해 경사에서 경위로 1계급 특진을 하는 영광도 안았다. "조직 내에 저보다 훨씬 뛰어나고 멋진 여형사들도 많은데 으뜸 여경대상을 받은 것은 행운이었던 것 같아요. 형사로 12년을 근무해 온 것에 대해 더 열심히 하라는 격려라고나 할까요"(웃음)

대한민국을 짊어지는 공명정대 김형사
정말 경찰이 되고 싶었고 그 꿈을 이뤘기에 지금 하고 있는 일 모두가 매력적이라는 김 동문. 경찰을 꿈꾸는 후배들에게 단순히 직업을 갖기 위해, 공무원이 되기 위해 경찰을 선택한다면 경찰로서의 생활이 결코 순탄치 않을 것이라고 조언한다. 경찰은 많이 힘든 직업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김 동문은 그에 따른 보람과 자긍심도 큰 직업이라고 말한다. "개인적으로 경찰은 다른 누구보다도 사회 구석구석 어두운 면을 많이 경험하게 되기 때문에 경찰이 되고자 하는 사람은 몸도 마음도 건강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항상 긍정적인 마인드가 가장 중요합니다." 경찰이 된지 14년이 지난 지금, 체력의 한계와 나이에서 오는 중압감도 느낀다는 김 동문은 그래도 계속해서 강력반 형사로 살고 싶다고 말한다. "몸도 마음도 건강한 김 형사, 공명정대하게 사건해결을 잘하는 김 형사"이고 싶습니다.
2009년 11월 16일

위로 스크롤

통합 검색